안녕하세요 주식 재무제표 쉽게 알아보기 2편 BPS EPS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PER PBR에 대해서 쉽게 알아봤는데 BPS EPS는 PER PBR을 잘 이해하셨다면 정말로 쉽습니다. 단어 하나하나를 외운다는 생각보다는 그냥 내용을 이해한다는 느낌으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시간에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예시를 들어 설명을 드려보겠습니다.
BPS란?
BPS란 Book-value Per Share의 약자입니다. 1주당 순자산이 얼마인가라는 말입니다. 지난 시간에 PBR에 대해서 알아봤었습니다. 이 PBR을 구할 때 BPS가 사용되게 됩니다. PBR은 주가가 순자산의 몇 배인가?라고 말씀드렸는데 여기서 나오는 순자산이 BPS입니다. 참 쉽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잠깐 순자산에 대해서 알아보자면 순자산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이 순자산입니다. 만약 현금 5천만 원이 있는 사람이 대출 5천만 원을 더하여 1억 원으로 회사를 차렸다면 총자산은 1억이지만 순자산은 5천만 원입니다. 이렇게 간단하게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BPS에 대해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EX) 만약 순자산이 1000만 원인 회사의 주식 총 발행수가 100주라면 주식 1주당 순자산이 10만 원이란 말입니다. 그러면 BPS는 10입니다. 그럼 순자산이 1억 원이라면 BPS는 100이 되겠습니다. 그럼 BPS가 높으면 좋을까요? 네! 일단은 좋습니다. 현재의 자산 가치가 높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기업 청산 시 주당 얼마씩 주주들에게 나눠줄 수 있는지 나타내기 때문에 높으면 좋습니다. 그러나 주식 발행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BPS는 낮아지게 되는 것이고 단순 주식 발행 수 대비 자산가치만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다른 재무상태와 업종의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EPS란?
EPS란 Earning Per Share의 약자입니다. 주식 1주당 순이익이라는 말입니다. 회사가 주식 1주로 얼마의 수익을 내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너무 쉬워서 놀라셨을 겁니다. PER PBR이 배율로 나타낸다면 EPS BPS는 직관적으로 가격을 나타낸다고 생각하셔도 편하실 것 같습니다. 쉽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EX) 총 발행 주식수가 1000주인 회사가 있습니다. 이 회사는 연간 1000만 원의 순이익을 내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 회사는 주식 1주당 1만 원의 순이익을 내는 것입니다. 네 맞습니다. 여러분이 쉽게 생각하실 수 있듯이 바로 EPS는 1입니다. 그럼 연간 1억의 수익을 내면 EPS는 10 이 될 것입니다. 그러면 EPS가 높으면 높을수록 좋을까요? 네 맞습니다. 통상적으로 EPS가 높으면 좋다고 판단을 합니다. 대신 EPS는 총 발생 주식수 대비이기 때문에 발행 주식수가 많으면 1주당 순이익이 높더라도 EPS는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조금 자세히 설명을 드리자면 EPS에는 기본 EPS와 희석 EPS가 있습니다. 사실 여기까지는 모르셔도 되지만 이런 것이 있다 정도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희석 EPS는 기본 EPS와는 달리 잠재주식까지 더한 전체 주식수를 의미하는데요 예를 들어 전환사채라던지 유. 무상 증자 등을 통한 신주인수권까지 미리 포함하여 주식수를 계산한 것입니다. 설명이 좀 복잡할 수 있으니 간단하게 주식 발행은 나중에 숫자가 늘어날 수도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재무제표에 모두 표기가 되어 있기 때문에 너무 심각하게 외우지 않으셔도 됩니다.
유의할 점
BPS와 EPS는 일단 높으면 좋다고 생각하실 수 있으나 주식의 총 발행수를 확인해야 하며 단순 수치보다는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지에 대한 부분을 유심히 살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에 설명드렸듯이 단순 수치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좋다고 보면 안 되고 다른 지표들과 함께 종합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단기적인 관점에서 자산과 수익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쉽게 판단해서는 안되며 재무제표를 활용해 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은 정말 그 기업의 대표가 어떤 음식을 좋아하고 어떤 취미를 가졌는지 까지 조사를 철저하게 할 정도로 기업에 대한 분석 능력이 뛰어납니다. 그 유명한 워런버핏 조차도 기업의 수익성과 안정성, 성장성까지 이 모든 것을 종합하여 상세히 분석을 하는데 우리처럼 개미투자자들이 단순 이 한 가지 지표만 놓고 기업을 판단할 수 있을까요? 오늘도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돈버는 냥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보조지표 엔벨로프(envelope) 설정 및 활용법 (1) | 2023.02.28 |
---|---|
주식 재무제표 쉽게 알아보기 3편 ROE ROA 총 정리 (1) | 2023.02.27 |
주식 재무제표 쉽게 알아보기 1편 PER PBR (0) | 2023.02.27 |
키움증권 HTS 신호관리자 뉴스 설정 및 활용법 (0) | 2023.02.27 |
키움증권 HTS 설정 지수차트 설정 (0) | 2023.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