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버는 냥이

주식 재무제표 쉽게 알아보기 1편 PER PBR

by 씐나는냥이 2023. 2.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주식 재무제표 쉽게 알아보기 1편 PER PB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는 우리가 기업에 투자를 하면서 어느 정도는 알아야 하는 부분입니다. 물론 재무제표만을 보고 이 기업이 성장할지 아닐지는 판단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주식은 기대감에 움직이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 재무제표를 참고하고 있습니다. 이 설명만 들으신다면 정말 쉽고 간편하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마시고 편한 마음으로 한 번만 읽어보시면 충분합니다.

PER은 무엇인가?

PER이란 Price Earning Ratio의 줄임말입니다. 주가 수익 비율이라는 말이 되겠습니다. 먼저 재무제표의 용어를 알기 전 시가총액을 알아야 하는데 시가총액은 주식수 * 주가입니다. 현재 주가가 100원이고 발행된 주식의 숫자가 100개라면 시가총액은 10,000원이 됩니다. 이렇게만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쉬운 예시로 PER을 설명드리겠습니다. EX) 만약 시가총액이 100만 원인 회사가 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그런데 이 회사는 연간 10만 원의 순이익을 발생시킵니다. 그러면 10만 원씩 10년을 벌어들이면 시가총액이 됩니다. 그럼 PER은 10입니다. 그럼 연간 50만 원의 순이익을 발생시키면 PER은 2가 될 것입니다. 현재 순이익으로 얼마나 벌면 투자금을 회수할 것인가? 분명히 본전을 회수하는 시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좋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PER이 낮으면 투자금을 회수하는 기간이 짧은 것이기 때문에 좋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매우 쉽게 이해가 되실 겁니다. 이처럼 PER이 낮으면 기업이 저평가 PER이 높으면 기업이 고평가가 되어있다고 통상적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그러나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은 PER이 높은 경우가 많으며 시장에서 이미 높은 가치로 인정받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PBR은 무엇인가?

PBR이란 Price Book-value Ratio의 줄임말입니다. 주가 순자산 비율이라는 이야기이며, 이것 또한 쉽게 설명을 드려보자면 방금 PER은 순이익이었습니다. 그와 비슷한 개념으로 PBR은 순자산입니다. 순자산 대비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익은 물건을 팔고 그 물건에 원금과 기타 비용을 빼고 남은 금액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그 남은 금액이 쌓이면 자산이 되는 것을 알고 계실 겁니다. 예를 한번 들어보겠습니다. EX) 만약 시가총액이 100만 원이 회사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회사의 순자산 그러니까 부채를 뺀 나머지 순자산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우리는 자본총계라고 부릅니다. 이 순자산이 50만 원이라면 시가총액은 순자산대비 2배이기 때문에 PBR은 2입니다. 매우 간단합니다. PBR 역시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가 되었다고 통상적으로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 역시 PER과 마찬가지로 이미 좋은 기업은 높은 가치를 받고 있기 때문에 단순 PER과 PBR 만으로 평가를 할 수 없습니다.

PER PBR이 낮은 기업은 무조건 좋은 것인가?

그러면 우리는 PER PBR이 낮은 기업을 무조건 사면될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단순 이 수치 하나만으로 기업을 평가할 수가 없습니다. 만약 주식이 부동산이라면 우리 아파트가 35평에 3억인데 옆동네 아파트는 똑같은 평수에 5억이라고 한다면 확실히 비싼 이유가 있을 겁니다. 학군이 좋다거나 역세권이라거나 뭐 이런 주변 인프라가 좋아서 프리미엄이 붙어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공급대비 수요가 많으면 가격은 올라갑니다. 그래서 투자목적으로 아파트를 구입하게 된다면 조금 비싸더라도 주변 인프라가 좋은 아파트를 구매하실 겁니다. 통상적으로 PER과 PBR이 낮은 기업을 선호하지만 향후 기업이 얼마나 성장을 할 수 있을지 시장에서의 기대치가 얼마나 높은지에 따라서 달라지기 때문에 기업에 대한 모든 분석을 확실하게 해야 하며 단순 수치만으로 결정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앞에서도 설명드렸듯이 이미 좋은 기업은 좋은 평가를 받고 있고 고평가가 되어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 점을 꼭 유의하셔서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시간에는 EPS BPS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