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키움증권 HTS 설정에서 이동평균선 설정 및 거래량 거래대금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가 움직인 이후 주가의 종가를 기준하여 평균 가격을 나타내 주는 것이며 후행성 지표이니 너무 맹신하여 매매하는 일이 없도록 하셨으면 합니다. 거래량 및 거래대금도 당일 얼마나 사고팔았는지에 대한 후행성 지표입니다. 모두 주식 매매 하는 데 있어서 필요하지만 어느 하나만을 놓고 매매를 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이동평균선
왼쪽 상단에 동그라미 친 부분을 더블클릭 하게 되면 이동평균선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보통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이렇게 설정을 많이 하시죠? 사실 여기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본인이 사용하고 싶은 이평선을 넣어도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일봉에서는 120일 240일 이 두 가지만 사용하는데요 짧은 단타 매매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제가 보고 싶은 것만 딱 지정해서 넣고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나 이동평균선을 추가로 더 넣고 싶다고 하신다면 차트의 공란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지표추가를 할 수 있는데요 거기서 가격 이동평균을 클릭하면 이동평균선을 원하시는 만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이 많다고 해서 좋은 게 아니기 때문에 차트를 봤을 때 어지럽지 않도록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더 많이 넣으실 수도 있습니다. 지우고 싶으실 때는 밑줄 친 부분을 클릭하시고 del 키를 눌러주시면 없어집니다. 너무 많이 넣으면 어지러우니 필요하신 이동평균선만 넣으십시오.
라인설정으로 들어와 보시면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보기 싫은 이동평균선을 체크 해제 하여 안 보이게 할 수도 있고 원하는 이동평균선의 색상을 바꾼다든지 굵기를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숫자만큼의 봉 개수의 평균값을 나타내어 준다고 말씀드렸습니다. 5일선이면 오늘 종가 포함 최근 5일간의 평균가격에 위치하게 되며 120일선은 최근 120일 동안의 평균가격입니다. 이것은 120 영업일을 말씀드리는 것이며 휴장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1일 차트에서 몇 거래일을 기준으로 볼 것인지 본인의 성향에 맞게 설정하시면 되고 평균적으로 위 그림과 같이 많이 쓰는 이유는 일주일은 5 거래일이고 한 달은 약 20 거래일이며 1분기는 약 60 거래일 반기는 약 120 거래일 기준이기 때문에 많이 쓰는 것입니다. 그러면 1년은 약 240 거래일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거래량 설정
왼쪽 아래 동그라미 친 부분을 더블클릭하게 되면 지표 설정을 하실 수 있는데요 거래량 지표에도 이동평균선이 존재합니다. 라인설정으로 들어가게 되면 색상변경과 같은 설정이 가능하죠? 여기서 주의 깊게 보셔야 할 것은 오른쪽 밑 비교기준입니다. '이전값'으로 설정이 되어 있으면 전일 거래량 대비 오늘 거래량이 적으면 음봉 많으면 양봉으로 표시해 주게 되어있고 아래쪽에 '가격차트'로 설정하게 되면 오늘 일봉이 양봉이면 거래량차트도 양봉 오늘 일봉이 음봉이면 거래량차트도 음봉으로 표시되게 되어있습니다. 이 부분을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더라고요. 모든 설정은 본인의 성향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가장 좋기 때문에 정답은 없습니다. 거래량은 우리가 차트를 보는 데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차트를 볼 때 거래량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해보길 추천드립니다.
거래대금 설정
거래대금 설정은 거래량과 마찬가지로 방법은 똑같습니다. 다만 처음 차트를 활성화하면 거래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나는 거래량보다는 거래대금으로 보고 싶다고 하시는 분들도 있으실 겁니다. 그러면 차트 공란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여 거래대금이라고 검색 후 적용을 클릭하시면 거래대금 차트가 나오게 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화면이 나올 텐데 위에 거래량을 클릭하여 del 버튼으로 지워주시고 아래 거래대금을 더블클릭하여 아까 거래량 설정한 것과 같이 설정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거래대금으로 보는 이유는 거래량 같은 경우 만약 1,000원짜리 주식을 1,000개 사고팔면 거래량은 2,000이 됩니다. 거래대금으로는 200만 원이 되는데 만약 2,000원짜리 주식도 똑같이 1,000개 사고팔면 거래량은 마찬가지로 2,000이 되지만 거래대금으로는 400만 원이 됩니다. 그래서 주가의 가격대까지 고려해서 거래대금으로 확인하면 얼마나 많은 돈이 거래가 되었는지 확인이 쉽게 가능하기 때문에 거래대금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돈버는 냥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움증권 HTS 신호관리자 뉴스 설정 및 활용법 (0) | 2023.02.27 |
---|---|
키움증권 HTS 설정 지수차트 설정 (0) | 2023.02.26 |
키움증권 HTS 주문창 4989 8282 8080 8283 사용법 및 장단점 (0) | 2023.02.26 |
키움증권 HTS 주식투자 차트설정 및 차트 보는 법 (1) | 2023.02.26 |
주식투자 처음 시작하시는 분들은 꼭 보세요 (1) | 2023.02.26 |
댓글